보도자료

HOME > 고객센터 > 보도자료
  어른 손보다 크고 시큼한 하수구 냄새” 4대강 큰빗이끼벌레가 금강에 돌아왔다!!! 2015.06.01 11:38
글쓴이 : EDK 조회 : 957
 
금강에서 큰빗이끼벌레(Pectinatella magnifica)가 또다시 발견되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물속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수질이 탁하고, 주변엔 죽은 물고기가 발견된 곳이었다.

26일 금강 주변 수심 1m 부근에서 발견된 이 큰빗이끼벌레는 휴면아(민물에 서식하는 태형동물의 무성 생식을 위한 특수한 구조) 상태에서 발아한 것으로 보인다. 길이 8cm, 둘레 6cm, 어른 손가락 하나 정도 크기의 이끼벌레에 대추만 한 이끼벌레들이 달려 있는 모습이었다. 이는 죽은 나뭇가지와 마름 수초 등의 뿌리에 붙어서 자라고 있었다.

금강은 최근 기온이 20도 가까이 오르면서 수온도 17~18도를 오르내리고 있다.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된 곳 주변은 지난해 가라앉았던 조류 사체가 떠오르면서 부유물질로 가득했다. 죽은 물고기가 상당수 발견됐고, 물고기 사체가 썩어 구더기가 생기면서 악취까지 풍겼다. 주변에는 수자원공사에서 설치한 마이크로버블기만 탈탈거리며 공기를 내뿜고 있었다.

"수자원공사에서 설치한 마이크로버블, 효과 없다"

기사 관련 사진
지난해 발생한 녹조가 수온이 떨어지는 겨울 동안 물속에 가라앉았다가 수온이 상승하면서 둥둥 떠올랐다.
ⓒ 김종술

정민걸 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교수는 "(수자원공사에서) 수질을 정화하겠다고 (금강에) 마이크로버블이라는 작은 공기방울 생성 장치를 설치해놓고, 오탁방지막으로 공주호와 격리해놓았지만, 수질 정화가 되기는커녕 점점 더 하수구처럼 변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어설픈 산소 공급이 염류의 순환을 촉진해서 조류의 성장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이어 "더구나 오탁방지막으로 완전하게 고립된 물이 햇볕의 에너지를 열로 그대로 머금고 있어 수온도 더 빨리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따라서 먹이도 풍부해지고 수온도 높아져 큰빗이끼벌레도 발아가 촉진되고 더 잘 자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우선 임시방편으로 수문을 열어 물이 흐르게 하여 맑은 물로 자정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대형보를 철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사 관련 사진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되고 있는 곳 주변에서는 죽은 물고기가 떠다니고 있다. 일부는 썩어서 구더기가 생기고 악취를 풍기고 있다.
ⓒ 김종술
관련사진보기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작년 4대강에 창궐했던 이끼벌레가 담수와 수질 등 환경변화가 굳어지면서 올해는 더 넓은 지역으로 번지고 대량으로 번성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양 사무처장 역시 "지금이라도 수문을 열어서 작년보다도 더 심각해질 올여름 녹조와 큰빗이끼벌레, 깔따구, 실지렁이 등의 번식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큰빗이끼벌레 대량서식 장소가 <오마이뉴스>를 통해 공개되자, 수자원공사와 정부는 보트를 이용하여 이를 훼손하고 수거하였다. 그래서 이날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된 정확한 지점은 훼손 등을 우려해서 추후 공개하고자 한다.

큰빗이끼벌레 유해성 논란은 계속

기사 관련 사진
지난해 6월 20일 충남 공주시 쌍신공원에서 발견된 축구공 크기의 큰빗이끼벌레
ⓒ 김종술
 

지난해 6월, 4대강 사업이 끝난 금강에서 큰빗이끼벌레가 처음 발견된 후 큰빗이끼벌레가 창궐하면서 유해성 논란이 계속 일었다.

큰빗이끼벌레가 어류 등 수중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난해 환경부는 유해성이나 생태 독성은 없다는 조사·연구결과를 내놨다. 그러면서 강우량이 평년에 비해 적은 것과 유속이 감소한 것이 (큰빗이끼벌레 번성의) 원인 중 하나라고 밝혔다.

하지만 충남발전연구원은 지난해 11월 큰빗이끼벌레 사멸 시, 수중 용존산소를 고갈시키며 질소를 발생시켜 수질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조사·연구결과를 내놓았다. 그러면서 정체 수역에서 대량 번식한 큰빗이끼벌레가 한꺼번에 죽을 경우 수중 동식물의 서식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큰빗이끼벌레 국내 유일 전공자인 서지은 우석대학교 교수는 지난해 금강에서 독성이나 생태에 미치는 영향 등 전혀 알려지지 않은 휴지아 상태의 이끼벌레 4종을 발견하여 연구 중이다. 조사결과에 따른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목록